난소낭종의 정의
난소 낭종은 난소에 발생하는 낭성 종양(cystic tumor)으로, 내부가 수액 성분으로 차 있는 물혹을 의미합니다. 배란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기능성(생리적) 난소 낭종과 양성 난소 신생물(혹)을 전부 통칭하는 단어입니다. 종양의 종류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장액성, 점액성 액체인 경우도 있고 혈액이나 지방, 농양 등일 수도 있습니다. 기능성(생리적) 난소 낭종은 여포 낭종, 황체 낭종, 난포막 황체화 낭종 등이 있습니다. 양성 난소 신생물 다시 말해 혹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자궁 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또는 점액성 난소 낭종 등이 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와 임상경과를 보입니다. 이 밖에 악성종양 즉, 난소암으로도 확인될 수 있습니다.
난소낭종의 증상
난소 낭종종양(Ovarian cystoma)은 많은 경우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복통: 특히 생리 주기와 관련된 복통이나 하복부 불쾌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생리 주기의 변화: 생리 주기가 일찍 오거나 늦게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 배가 부을 수 있습니다.
- 배뇨 문제: 배뇨 불편감, 자주 배뇨, 소변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성기 출혈: 일부 여성은 성기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체중 증가: 종양의 크기에 따라 체중 증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불임: 조기 배란이나 난소 기능이 감소하여 불임이나 임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응급증상들입니다.
- 급격한 복통: 갑자기 시작되는 복통, 특히 하복부에 있는 복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혈압 저하: 혈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빈혈: 급격한 출혈로 인해 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발열: 체온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구토: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응급 수술이 필요한 회전성 난소 낭종: 난소 낭종이 회전하는 경우, 급격한 복통, 구토,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경우 종종 회전성 낭종이 발생하며 난소낭종의 파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내부에서 난소낭종이 파열될 경우 복강내 출혈을 일으키니 매우 중요합니다. 평소 난소 낭종이 있는 것을 알고있었는데 갑자기 아랫배의 통증이 심해질 경우 바로 큰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시길 바랍니다.
난소낭종의 치료
난소 낭종종양(Ovarian cystoma)의 치료 방법은 난소 낭종의 크기, 증상 및 종양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부 경우, 난소 낭종은 적극적인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커지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다음과 같은 치료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관찰과 추적: 비교적 작은 크기의 난소 낭종종양의 경우, 종양이 자연적으로 줄어들거나 없어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관찰과 추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치료: 난소 낭종이 악성종양인 가능성이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권장됩니다. 수술적 치료는 종양을 제거하거나 전체 난소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 약물 치료: 난소 낭종이 난소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종양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약물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내시경 수술: 작은 크기의 난소 낭종의 경우, 내시경을 사용하여 수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난소낭종의 예방
난소 낭종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며, 예방 방법은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건강 습관을 유지하면 난소 낭종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정기적인 건강 검진: 여성은 일정 기간마다 건강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난소 낭종이 발생한 경우 가능한 빨리 발견하여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건강한 식습관: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여 비만, 당뇨병 등의 건강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건강 문제는 난소 낭종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운동: 꾸준한 신체 활동을 유지하여 체중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흡연 중단: 흡연은 여러 종류의 암과 연관이 있으며, 난소 낭종 발생 가능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흡연을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뻔한 말들이겠지만 난소낭종은 생각보다 할 수 있는 처치가 없고 치료방법또한 관찰 아니면 수술 등 극단적이기 때문에 예방을 할 수 있다면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래서 예방방법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건강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나운동본부: 머리카락 기증 (29) | 2023.03.10 |
---|---|
뇌수막염 증상과 치료 (21) | 2023.03.09 |
길랑바레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의 증상과 치료 (27) | 2023.03.07 |
근육이 멈추는 병: 루게릭병의 응급과 처치 (27) | 2023.03.06 |
심장이 갑자기 빨리 뛰는 증상: PSVT(상심실성 빈맥) (32) | 2023.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