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뽀로로의 환생인 전직뽀로로입니다. 오늘도 현생도비로써 생활에 도움이 될 의학상식을 전달하려고 합니다.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허혈성뇌졸중과 출혈성뇌졸중입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흔히 중풍이라고 말하는 혈관이 혈전, 색전 등 다양한 이유로 막혀 나타나게 되는 뇌졸중의 종류입니다.
출혈성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뇌출혈이라고 부르는 질병입니다. 혈관의 약화나 노화, 고혈압 등을 이유로 자연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폭행 등 순간적인 강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외상을 동반한 경우 외상성 뇌출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크게 두 갈래로 나뉘지만 두 질환 전부 빠르게 병원을 찾아 응급처치를 받지 않으면 중대한 후유장애가 남거나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뇌졸중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증상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졸중을 의심할 수 있는 초기증상>
1. 반신마비가 발생합니다 : 주로 좌,우측 중 한쪽의 팔과 다리의 힘이 빠지는 증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리에 힘이 빠지는 경우 올바르게 서지 못하고 한 쪽방향으로 몸이 기울며 쓰러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 손에 힘이 빠질 경우 들고있는 물건(핸드폰, 컵 등)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이때 팔과 다리 어느 한 쪽에만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팔다리에 동시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2. 안면마비 증상도 보입니다 : 반신마비는 얼굴로도 나타납니다. 얼굴의 좌,우측 중 한 쪽으로 얼굴이 마비되는 증상이 보이는데 이때 물을 마실 때 한쪽입술이 움직이지 않아 물을 흘리거나 가만히 있어도 침이 흐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을 보이는 사람에게 방긋 웃게하면 얼굴이 기묘하게 일그러지며 웃는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얼굴 마비는 뇌졸중도 의심할 수 있으나, 안면신경의 마비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뇌졸중의 대표증상은 아닙니다.
3. 언어장애도 보입니다 : 구음장애 및 실어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안면마비로 인해 얼굴근육이 잘 움직이지 않아 생기는 구음장애, 즉 발음이 어눌하게 들리는 증상이 있습니다. 혹은 머리로는 할말을 생각했는데 입밖으로 꺼내려고 하면 말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실어증이라고 합니다. 실어증도 크게 볼경우 두가지가 있는데 아예 말을 못하는 경우가 있고, 묻는 말과 다른 엉뚱한 단어를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이름이 뭐냐고 물었을 때 "동그라미"라고 대답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도 실어증으로 간주합니다.
4. 시야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물이 두개로 보이거나, 눈을 떳는데 한 쪽이 안보인다거나, 한쪽눈 시야의 반만 커튼 친 듯이 보인다거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든 본인이 눈으로 보고 있는 모습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극심한 두통에 놀랄 수도 있습니다 : 뇌졸중 환자의 경우 특히 출혈성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벼락맞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표현합니다. 진통제를 먹어도 지속되는 심한 두통이 있다고 하면 병원을 방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6. 의식저하가 생길 수 있습니다 : 갑자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경우 의식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갑자기 코를 골고 잠들어서 깨워도 일어나지 않는다거나 강한 자극을 줘도 눈을 뜨지 않는 경우 꼭 119에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자가검사하는 방법>

거울을 보고 방긋 웃어보고 한쪽은 웃어지는데 한쪽은 웃어지지 않는다고 하면 뇌졸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눈을 감고 양팔을 앞으로 나란히 한 후, 손바닥이 하늘을 보게 뻗습니다. 눈 감고 30초만 세어본 후 눈을 뜨면 한쪽 팔이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하늘이 참 맑습니다." 등 하나의 문제를 명확하게 읽어보라고 하였을 경우 평소와 발음이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일관되고 정형화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위의 증상들이 나타날 경우는 일시적인 경우여도 병원진료가 필요합니다. 119에 신고하셔서 도움을 받으시거나 인근 병원 응급실로 방문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지금까지 전직뽀로로였습니다.
'건강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상 응급처치하기 (42) | 2023.01.25 |
---|---|
심폐소생술 바로알기 (33) | 2023.01.24 |
AED(자동심장충격기) 사용하기 (19) | 2023.01.23 |
심근경색 의심하기 (13) | 2023.01.21 |
설 연휴 아플 때 (23) | 2023.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