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 심폐소생술 바로알기 안녕하세요 뽀로로의 환생, 전직 뽀로로에요. 오늘은 가장 중요한 심폐소생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언제 심폐소생술을 해야할까? 심폐소생술은 심정지가 온 사람에게 해야합니다. 심정지가 온 사람을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지 매우 힘듭니다. 누군가 내 앞에서 쓰러진다고 하면 일단 올바르게 눕힙니다. 그 후에 환자에게 이름을 부르거나 강하게 자극을 주면서 의식이 있는지 확인을 해봅니다. 자극을 주는 방법은 어깨부분을 강하게 두둘기면서 이름을 부릅니다. 혹은 팔 안쪽 연한부분을 꼬집어보거나 손톱을 세게 눌러봅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얼굴을 잘 봐야합니다. 아무리 강한 자극을 주어도 얼굴 찡끗도 안하는 경우 의식이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얼굴이 찡끗하거나 통증을 준 부위가 움찔할 경우는 의식이 있으니 심.. 2023. 1. 24. AED(자동심장충격기)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뽀로로의 환생, 전직뽀로로 현직도비가 오늘은 AED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한글로는 자동심장제세동기, 즉 자동으로 심장에 생기는 세동을 제거해주는 기기입니다. 다른 말로는 자동심장충격기라고도 불립니다. 심정지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하는 기기입니다. 주로 지하철 역사나 아파트 입구, 쇼핑몰 등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전기충격기(의학드라마를 보면 쇽!이라고 하며 환자 가슴에 다리미 같은 물건을 댈 때)와 다르게 가볍고 손쉽게 글을 모르는 사람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AED사용하는 방법 1. 뚜껑을 열고 번호 순서대로 따라가면 됩니다. 2. 1이라고 적힌 버튼을.. 2023. 1. 23. 뇌졸중 의심하기 안녕하세요 뽀로로의 환생인 전직뽀로로입니다. 오늘도 현생도비로써 생활에 도움이 될 의학상식을 전달하려고 합니다. 뇌졸중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허혈성뇌졸중과 출혈성뇌졸중입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흔히 중풍이라고 말하는 혈관이 혈전, 색전 등 다양한 이유로 막혀 나타나게 되는 뇌졸중의 종류입니다. 출혈성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뇌출혈이라고 부르는 질병입니다. 혈관의 약화나 노화, 고혈압 등을 이유로 자연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폭행 등 순간적인 강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외상을 동반한 경우 외상성 뇌출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크게 두 갈래로 나뉘지만 두 질환 전부 빠르게 병원을 찾아 응급처치를 받지 않으면 중대한 후유장애가 남거나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뇌.. 2023. 1. 22. 심근경색 의심하기 뽀로로의 환생, 전직뽀로로 현직은 도비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심근경색 의심하기 입니다. 심근경색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심근은 심장의 근육, 경색은 좁아지거나 딱딱해진다는 뜻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딱딱해지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 몸에 펌프역할을 하는 심장을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심장의 근육에도 많은 혈액을 공급해 줘야합니다. 그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주로 이 관상동맥이 막히는 것이 심근경색이라고 합니다. 관상동맥은 크게 3가지 분지로 내려가는데 이중 어느부분이 얼마나 막혔느냐에 따라 치료방법이나 증상들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오늘은 우리가 주의해야할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좌측 가슴을 조이는 듯한 통증.. 2023. 1. 21. 설 연휴 아플 때 설 연휴에 아프면 어떻게 하죠? 빨간 날 집앞 병원도 문을 닫는데 당황스럽습니다 막연히 참기엔 연휴가 아직 4일이나 남아있고..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구글플레이에서 e-gen 어플을 다운받습니다. 응급실 뿐 아니라 인근 동네병원 진료 가능과목, 진료가능시간, 약국까지 다 검색이 가능합니다. 전화번호도 있어서 전화하면 대기시간, 진료가능여부 등을 손쉽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편의점에서도 비상약을 판매합니다.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비상약들이 있습니다. 기본 소화제부터 타이레놀, 종합감기약, 파스 등. 필요에 맞게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 환자일 경우 관할 보건소로 전화를 하거나 1339로 전화를 하여 진료가능한 병원 문의를 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환자의 경우 119를 통해 병원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 2023. 1. 20. 이전 1 2 3 4 다음